재가장기요양기관 - 창업 직후 6개월 초기 마케팅 로드맵
2025. 5. 25. 17:23ㆍ카테고리 없음
단계 주 목표 핵심 액션 세부 Tip & 도구
0. 사전 준비 (개업 전 1-2 개월) | 브랜드·신뢰 기반 다져두기 | • 기관명·로고·슬로건 확정• 홈페이지·Naver Place·카카오맵 등록• 사업자용 카카오톡 채널 개설 → 상담 챗봇 연결 | - ‘진정성·안전·전문성’ 키워드 반영- 홈페이지는 장기요양 등급‧절차 안내 콘텐츠 중심으로 |
1. 1개월차(Soft Opening) | 빠른 인지도 확보 | A. 요양플래너(CM) 네트워킹 노인장기요양보험공단 소속 케이스 매니저(요양플래너)에게 인사·리플릿 전달 (주 3회 목표)B. 인근 의료·복지기관 제휴 노인병원·내과·약국·치매안심센터 방문, 의사진단서 발급/출퇴근 동선 지원 프로그램 제안 | - 초기 고객 70% 이상이 케이스 매니저 → 소개 루트 확보가 최우선- 제휴 병원에 ‘무료 방문상담 쿠폰’ 비치 |
2. 2-3개월차 | 자녀 세대(40-60대) 타겟 디지털 마케팅 | A. Naver 브랜드 검색광고 (지역 키워드+방문요양)B. 콘텐츠 마케팅 • 블로그: 장기요양등급 신청 Q&A, 요양보호사 인터뷰 • 인스타 릴스: 30초 ‘실시간 방문목욕’ 브이로그C. 카카오톡 채널 ‘상담예약’ → 즉시 상담 연결 | - 타깃 연령은 Naver·카카오에 집중- 영상은 ‘재가서비스가 집을 얼마나 안전하게 지켜주는지’ 보여주는 스토리텔링 방식 |
3. 4-5개월차 | 지역사회 신뢰 구축 & 구전 확산 | A. 마을센터·경로당 순회 설명회 (월 2회)B. ‘가족돌봄 힐링데이’ 체험 이벤트 • 어르신 1일 무료방문요양 + 보호자용 스트레스 관리 클래스 (협업 : 요가스튜디오)C. 고객 추천 리워드 (지인 소개 시 첫 달 10 % 할인) | - 설명회는 공단 인정 ‘3등급이하 대상 맞춤 서비스’ 사례 중심- 이벤트 후 SNS 사진·후기 자동 업로드 동의 받아 확산 |
4. 6개월차 | 성과 분석·서비스 고도화 | • KPI: 월 실가입자 수·재계약률·케이스 매니저당 소개 건수 트래킹• 첫 50가구 대상으로 NPS (순추천지수) 조사 → 서비스 FAQ·교대일지 개선 | - 구글 시트 + Data Studio(무료)로 대시보드 제작- 불만 패턴(요양보호사 교체·서비스시간 준수 등) → 교육 프로그램 반영 |
세부 전략 포인트
- 케이스 매니저(CM) ↔ 기관 신뢰
- CM에게 ‘타기관과 차별화’ 체크리스트 제공
– 방문기록 실시간 공유 로그, 보호자 전용 앱(사진·메모) 등 - 월간 CM 라운드테이블(온라인 Zoom) 개최 → 질의응답 자료를 PDF로 즉시 배포
- CM에게 ‘타기관과 차별화’ 체크리스트 제공
- 디지털 터치포인트 최적화
- ‘전화-상담-등급신청 대행’ 원스톱 흐름을 랜딩페이지에 그림으로 배치
- 카카오톡 채널 챗봇 → 보호자 FAQ (수가, 서비스시간, 등급별 본인부담) 버튼화
- 검색광고는 거주지 + 방문요양 비용 키워드를 집중, CTR > 3 % 목표
- 콘텐츠 = 전문성 + 감동 스토리텔링
- 요양보호사 교육 현장·어르신 미소 사진을 필수 보호자 동의 후 사용
- ‘집에서도 안전하게 재활운동하는 법’ 등 정보성 카드뉴스(3장 내) 주 2회 업로드
- 오프라인 커뮤니티 루트
- 주민센터·치매안심센터 사전 예약제로 무료 등급 상담 부스 운영
- 지자체 주관 노인복지 EXPO 참가 → 혈압·혈당 간이검사 체험 부스 병행
- 평판 관리
- 초기 5성 리뷰 유도: 서비스 2주 후 카카오톡 자동 설문 → 후기 작성 링크 전달
- 부정 리뷰 ≥ 2건 발생 시 원장 직접 유선 케어, 수정·삭제 유도보다 해결과정 공개 집중
실행 체크리스트 (Startup Toolkit)
구분 필수 도구 비고
온라인 | Naver Analytics, 카카오톡 채널 / 챗봇, 구글 스프레드시트 | 무료·저비용 유지 가능 |
오프라인 | 리플릿 1,000부(고령 친화 글꼴), 롤업 배너 2EA | 배너 QR → 상담예약 링크 |
교육 | 요양보호사 서비스 매뉴얼, 개인정보보호·응급대처 매뉴얼 | 분기별 재교육 |
법·규정 | 광고물 사전심의(요양기관 표기·수가 언급 주의), 개인정보 3차 이용 동의서 | 장기요양법·개정 의료법 준수 |
성공 지표 가이드
KPI 목표치 (6개월) 모니터링 주기
월 신규 등급신청 상담 | ≥ 40건 | 주간 |
월 실가입자 | ≥ 20가구 | 월간 |
재계약률(6개월차) | ≥ 75 % | 분기 |
CM 당 소개건수 | 3건 이상/월 | 월간 |
온라인 상담 → 계약 전환율 | ≥ 25 % | 주간 |
초기 6개월은 ‘신뢰 + 인지도’ 가 전부입니다. 케이스 매니저와 보호자(자녀 세대)라는 두 축에 집중해, 오프라인 관계 구축 → 온라인 증폭 → 서비스 품질 피드백 → 개선·재노출의 선순환을 만들면 안정적인 가입자 기반이 형성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