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행
은퇴 부부 국내 한 달 살기 추천지 (2025년 12월 ~ 2026년 2월)
서호60
2025. 6. 17. 14:48
1. 제주도 (따뜻한 남쪽, 다양한 볼거리)
- 추천 이유: 겨울에도 비교적 온화한 날씨, 아름다운 자연경관, 올레길 트레킹, 풍부한 문화유산, 신선한 해산물 등 즐길 거리가 많습니다. 다양한 숙소 형태와 편리한 교통으로 장기 체류에 적합합니다.
- 예상 비용 (1개월 기준):
- 숙소: 150만 원 ~ 300만 원 (숙소 형태 및 위치에 따라 천차만별. 한 달 살기용 독채, 레지던스, 장기 렌트 아파트 등 고려)
- 식비: 80만 원 ~ 150만 원 (외식 빈도에 따라 조절. 직접 요리 시 절약 가능)
- 교통: 30만 원 ~ 60만 원 (렌터카 필수. 대중교통 이용 시 절약 가능하나 이동 불편)
- 문화/관광: 30만 원 ~ 70만 원 (입장료, 체험 비용 등)
- 기타: 20만 원 ~ 50만 원 (생활용품, 비상금 등)
- 총 예상 비용: 약 310만 원 ~ 530만 원
- 일정 계획 (예시):
- 1주차 (서귀포 중심):
- 입도 후 숙소 체크인 및 주변 탐색.
- 매일 올레길 코스 중 한두 곳 선택하여 산책 (서귀포 칠십리, 외돌개 등).
-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방문 및 현지 음식 즐기기.
- 정방폭포, 천지연폭포 등 서귀포 자연 명소 탐방.
- 새연교 야경 감상.
- 2주차 (제주시/애월 중심):
- 제주시 동문시장 방문 및 제주시내 관광 (용두암, 동한두기 등).
- 애월 해안도로 드라이브 및 카페 투어.
- 한라산 어리목/영실 코스 등반 (날씨 및 체력 고려).
- 국립제주박물관 등 문화 시설 방문.
- 3주차 (동부/서부 해안):
- 성산일출봉, 섭지코지, 광치기 해변 등 동부 해안 명소 탐방.
- 우도 방문 (배 시간 확인 필).
- 오설록 티뮤지엄, 이니스프리 제주하우스 등 서부 문화 체험.
- 카멜리아힐 동백꽃 감상 (겨울철).
- 4주차 (자유 및 재방문):
- 가보고 싶었던 곳 재방문 또는 새로운 곳 탐방.
- 제주 전통 오일장 방문 (날짜 확인).
- 온천 또는 스파 방문하여 피로 풀기.
- 기념품 쇼핑 및 귀가 준비.
- 활동 팁: 요일별 오일장(5일장) 방문, 도립미술관, 현대미술관 등 방문, 감귤 따기 체험 (시기에 따라), 실내 관광지 (아쿠아플라넷, 박물관 등) 활용.
- 1주차 (서귀포 중심):
2. 여수 (낭만적인 바다, 풍부한 먹거리)
- 추천 이유: 따뜻한 남해 바다를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풍경, 신선한 해산물, 동백꽃 명소(오동도), 다양한 해양 레저 및 문화 시설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. KTX 접근성이 좋아 이동이 편리합니다.
- 예상 비용 (1개월 기준):
- 숙소: 100만 원 ~ 200만 원 (레지던스, 장기 렌트 아파트, 에어비앤비 등)
- 식비: 70만 원 ~ 130만 원 (게장 백반, 해산물 요리 등 특산물 위주)
- 교통: 20만 원 ~ 40만 원 (시내버스, 택시, 일부 지역은 렌터카 고려)
- 문화/관광: 20만 원 ~ 50만 원 (케이블카, 유람선, 박물관 등)
- 기타: 15만 원 ~ 40만 원
- 총 예상 비용: 약 225만 원 ~ 460만 원
- 일정 계획 (예시):
- 1주차 (중심가 및 바다):
- 숙소 체크인 후 주변 탐색.
- 이순신광장, 하멜등대, 거북선 등 여수 밤바다의 낭만을 즐기기.
- 오동도 동백꽃 감상 및 동백열차 이용.
- 여수 해상 케이블카 탑승 (돌산공원, 오동도).
- 낭만포차 거리에서 저녁 식사 및 분위기 즐기기.
- 2주차 (자연 및 예술):
- 향일암 일출 구경.
- 돌산도 드라이브 및 돌산공원 산책.
- 예술랜드 등 조각 공원 및 미술관 방문.
- 만성리 검은모래 해변 산책.
- 3주차 (섬 및 역사):
- 오동도 외 다른 섬 (장도, 사도 등) 방문 (선박 운항 확인).
- 진남관, 고소대 등 역사 유적지 탐방.
- 여수 아쿠아플라넷 방문.
- 여수 수산시장 방문하여 신선한 해산물 즐기기.
- 4주차 (자유 및 재방문):
- 가보고 싶었던 맛집 재방문 또는 새로운 곳 탐방.
- 찜질방이나 온천 시설 방문하여 휴식.
- 기념품 쇼핑 및 귀가 준비.
- 활동 팁: 여수 엑스포 공원, 해양수산과학관 등 방문, 봉산동 게장골목에서 게장 맛집 투어.
- 1주차 (중심가 및 바다):
3. 통영 (아름다운 항구 도시, 예술과 문학의 고장)
- 추천 이유: 아기자기하고 아름다운 항구 도시로, 동피랑 벽화마을, 중앙시장 등 볼거리가 많고 해상 케이블카, 루지 등 즐길 거리도 다양합니다. 문학과 예술의 향기가 가득하며, 신선한 해산물이 풍부합니다.
- 예상 비용 (1개월 기준):
- 숙소: 90만 원 ~ 180만 원 (레지던스, 한 달 살기 숙소, 에어비앤비 등)
- 식비: 60만 원 ~ 120만 원 (해산물, 충무김밥, 꿀빵 등)
- 교통: 15만 원 ~ 30만 원 (시내버스, 도보, 일부 택시)
- 문화/관광: 20만 원 ~ 40만 원 (케이블카, 루지, 박물관, 섬 여행 등)
- 기타: 10만 원 ~ 30만 원
- 총 예상 비용: 약 200만 원 ~ 400만 원
- 일정 계획 (예시):
- 1주차 (시내 중심):
- 숙소 체크인 후 주변 탐색.
- 동피랑 벽화마을, 서피랑 마을 산책 및 사진 찍기.
- 중앙시장 방문하여 신선한 해산물 및 현지 먹거리 즐기기.
- 통영 해상 케이블카 탑승 및 미륵산 정상 감상.
- 통영 루지 체험.
- 2주차 (섬 여행):
- 한산도 제승당 방문 (배편 확인).
- 욕지도 또는 소매물도 방문 (날씨 및 배편 확인).
- 달아공원 일몰 감상.
- 3주차 (예술/문학):
- 이중섭 미술관, 전혁림 미술관 등 예술 공간 방문.
- 청마 문학관, 김춘수 유품 전시관 등 문학인의 발자취 따라가기.
- 강구안 거북선, 문화마당 등 산책.
- 4주차 (자유 및 재방문):
- 가보고 싶었던 맛집 재방문 또는 새로운 곳 탐방.
- 통영 주변 드라이브.
- 기념품 쇼핑 및 귀가 준비.
- 활동 팁: 통영 국제 음악당 공연 관람 (일정 확인), 통영 케이블카 하부역사 주변 산책, 통영 해저터널 구경.
- 1주차 (시내 중심):
4. 강릉 (동해 바다와 커피, 문화의 조화)
- 추천 이유: 겨울 바다의 운치를 느낄 수 있으며, 커피 명소와 오죽헌, 선교장 등 역사 문화 유산이 풍부합니다. 비교적 한적하며, 맛집과 카페가 많아 여유로운 한 달 살기에 좋습니다.
- 예상 비용 (1개월 기준):
- 숙소: 100만 원 ~ 200만 원 (레지던스, 아파트, 한 달 살기 펜션 등)
- 식비: 70만 원 ~ 130만 원 (해산물, 초당 순두부, 강릉 커피 등)
- 교통: 20만 원 ~ 40만 원 (시내버스, 일부 렌터카 필요)
- 문화/관광: 20만 원 ~ 50만 원 (박물관, 미술관, 커피 체험 등)
- 기타: 15만 원 ~ 40만 원
- 총 예상 비용: 약 225만 원 ~ 460만 원
- 일정 계획 (예시):
- 1주차 (바다와 커피):
- 숙소 체크인 후 주변 탐색.
- 안목 해변 커피거리에서 커피와 바다 감상.
- 경포호수 주변 산책 및 경포대 방문.
- 주문진 항구 방문 및 신선한 해산물 즐기기.
- 2주차 (역사와 문화):
- 오죽헌 방문 및 신사임당, 율곡이이의 흔적 따라가기.
- 선교장 방문 및 전통 가옥의 아름다움 느끼기.
- 강릉 시내 월화거리 산책.
- 정동진 해변 방문 및 바다 부채길 트레킹 (날씨 고려).
- 3주차 (예술과 자연):
- 하슬라아트월드 방문 (미술관, 조각공원).
- 강릉 솔향수목원 또는 대관령 양떼목장 방문 (날씨 고려).
- 초당 순두부 마을에서 맛집 탐방.
- 4주차 (자유 및 재방문):
- 가보고 싶었던 카페나 맛집 재방문.
- 중앙시장 방문 및 먹거리 즐기기.
- 실내 박물관 (강릉시립박물관, 참소리축음기박물관 등) 방문.
- 기념품 쇼핑 및 귀가 준비.
- 활동 팁: 강릉 단오제 전수관 방문 (공연 일정 확인), 테라로사 등 유명 커피 공장 방문.
- 1주차 (바다와 커피):
공통 고려사항 및 팁:
- 숙소 예약: 한 달 살기 전문 숙소, 에어비앤비, 레지던스 호텔의 장기 투숙 할인을 적극적으로 알아보세요. 최소 2~3개월 전에는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교통: 추천 지역 모두 도보 또는 대중교통으로 어느 정도 이동 가능하지만, 제주도는 렌터카가 필수적이며, 다른 지역도 특정 관광지 접근을 위해 렌터카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. 각 지역의 시내버스 노선과 배차 간격을 미리 확인하세요.
- 식비 절약: 숙소에 조리 시설이 있다면 식재료를 직접 구입하여 요리하는 것이 식비를 절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 지역 전통 시장을 방문하여 현지 식재료를 경험해 보세요.
- 문화생활: 각 지역의 도서관, 박물관, 미술관, 공연장 등을 활용하여 문화생활을 즐겨보세요. 은퇴 후에는 평일에 여유롭게 방문하기 좋습니다.
- 건강 관리: 겨울철이므로 감기 등 건강에 유의하시고, 실내 활동과 야외 활동을 적절히 섞어 일정을 계획하세요. 따뜻한 옷차림은 필수입니다.
- 유연한 일정: 정해진 계획에 얽매이기보다는 그날그날 컨디션이나 날씨에 따라 유연하게 일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지역 커뮤니티: 각 지역의 '한 달 살기' 카페나 커뮤니티에 가입하여 정보 공유 및 교류를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.
- 비상금: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하여 예산의 10~20% 정도는 비상금으로 준비해 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