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

특화 교육과정 운영 계획

서호60 2025. 4. 19. 12:57

 

3-1-2. 특화 교육과정 운영 계획


1) 특화 교육과정 운영 계획

  • 특화 방향:
    AI+IoT 기반 스마트 제조·물류 솔루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 특화 교육과정 운영
  • 협력 체계:
    • 군포시청, 군포산업진흥원과 정책·지원 연계
    • 군포스마트산단 추진협의회, 지역 스마트 제조·물류 기업(예: 스마트로지텍, 군포ICT)과 산학협력
    • G7/GX 연계:
      • G7(Green, Growth) 중 "디지털 전환" 분야 연계
      • GX(Green Transformation) 중 "스마트 제조 혁신" 분야 연계
  • 특화 교육과정 검증 기준 및 근거:
    • 지역 산업체 수요조사 및 분석보고서
    • 산업체 협약서 (MOU) 체결
    • 교과목 수업계획서, 교육과정 검토 보고서
    • 교육결과보고서(수강생 성과, 캡스톤 프로젝트 결과 등)

2) 특화 교육과정이 지역 산업 발전 및 학생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

항목 방안

지역 산업 발전 - 스마트 제조 및 물류 자동화 수요에 부합하는 실무형 인재 양성- 기업별 맞춤형 과제 해결 및 생산성 향상 지원
학생 역량 강화 - AI·IoT·스마트팩토리·스마트물류 융합 실무능력 습득- PBL 및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수행능력 강화- 취업 매칭 프로그램 통한 조기 취업 기회 확보

3) 연차별 주요 추진 계획 (표)

구분 항목 주요 내용 비고

1차년도 (2025) 기반 구축 및 시범 운영 - 특화 교육과정 설계 및 시범 운영(2과목)- 지산학협력위원회 구성- 산업체 수요조사 및 교육 Needs 정리  
2차년도 (2026) 정규 트랙 본격 운영 - AI+IoT 특화 정규 트랙(4과목) 운영- PBL 교과목 4개 개설 및 운영- 현장실습 시범 추진  
3차년도 (2027) 산학연계 강화 - 기업연계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10건 이상 추진- 산학공동 연구과제 기획- 스마트 제조·물류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확대  
4차년도 (2028) 연구 및 고급과정 신설 - 고급 AI+IoT 스마트팩토리 과목 신설- 산학 공동특허 2건 이상 추진- 지역사회 연계 프로젝트 수행  
5차년도 (2029) 지속 운영 체계 구축 - 군포형 특화 인재 양성 모델 정립 및 확산- 성과 백서 발간 및 워크숍 개최- 지역기업 네트워킹 플랫폼 구축  

4) 세부 추진내용 (특히 1차년도 자세히)

1차년도(2025년) 추진 계획 (중점 작성)

  • 교육과정 개발:
    • AI+IoT 기반 스마트 제조 및 물류 기본 과목(2과목) 신규 개발
    • 시범 교과목 운영 및 피드백 수집
  • 지산학협력위원회 구성:
    • 군포시청, 산업진흥원, 지역 기업체 5곳 이상 참여
    • 수요조사 기반 커리큘럼 자문 및 검토
  • 산업체 수요조사:
    • 20개 이상 군포 지역 스마트 제조·물류 기업 대상
    • 핵심 역량 항목(스마트팩토리, IoT, AI 분석 등) 도출
  • 시범 프로그램 운영 및 검증:
    • 참여 학생 30명 이상
    • 학기별 교육성과 평가 및 교육과정 보완

2~5차년도 (핵심만 정리)

  • 2차년도: 정규 트랙 개설, PBL 교과목 확대
  • 3차년도: 산학 공동 프로젝트 정례화, 취업연계 강화
  • 4차년도: 고급 전문과정 신설, 연구·특허 성과 창출
  • 5차년도: 지산학 생태계 고착화 및 전국 확산

5) 특화 교육과정 성과 창출 및 확산 계획 (단계별)

단계 내용

1단계(1~2차년도) 특화 교육과정 개발 및 검증, 산학협력 기반 구축
2단계(3~4차년도) 산학연계 실습, 인턴십, 공동 연구개발 통한 성과 창출
3단계(5차년도) 군포형 AI+IoT 스마트 제조·물류 인재 모델 확산, 전국 발표

6)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자원 확보 방안

  • 재정적 자원:
    • RISE 사업비 외에도 대학 자체 예산 편성
    • 군포시청 및 산업진흥원 매칭펀드 협의 추진
    • 기업체 연계 공동펀딩 모델 개발
  • 인적 자원:
    • IT학부 전임교원 전담 배정(5명 이상)
    • 산업체 겸임교수, 외부 전문가 초빙
    • 지역 기업 연구소 협업(멘토단 운영)

7) 참고 그래프 (삽입 예시)

[연차별 교육과정 및 산학협력 성과 목표 그래프]

(아래는 설명용 - 필요시 그래프 파일 제작 가능)

성과 목표
↑
|
| 5차년도 : 군포형 인재모델 정착 + 전국 확산
| 4차년도 : 고급 전문과정+공동특허
| 3차년도 : 산학 프로젝트 확대+취업 연계
| 2차년도 : 정규 트랙 운영+PBL 수업 강화
| 1차년도 : 기반 구축+수요조사
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→ 시간

✨ 요약

  • AI+IoT 기반 스마트 제조·물류 특화를 핵심 테마로 설정
  • 지역산업-대학-학생 3자 모두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는 구조
  • 성과 확산·지속 운영 계획까지 명확히 제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