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사

계엄령/한국 현대사

서호60 2024. 12. 4. 15:25

한국에서 계엄령은 헌법과 계엄법에 근거하여 선포됩니다. 헌법 제77조에 따르면, 대통령은 전시,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 시 계엄을 선포할 수 있으며, 이를 즉시 국회에 통보해야 합니다. 계엄은 경비계엄과 비상계엄으로 구분되며, 비상계엄의 경우 국민의 기본권이 더 강하게 제한될 수 있습니다.

 

계엄법은 계엄의 선포 절차, 계엄사령관의 권한, 계엄 시행 시 국민의 권리 제한 범위 등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습니다. 계엄이 선포되면 군이 행정 및 사법 업무를 수행하며, 필요에 따라 군사법원이 민간인을 재판할 수 있습니다.

 

한국 현대사에서 계엄령이 선포된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1. 여수·순천 사건 (1948년 10월): 전라남도 여수와 순천에서 발생한 군인들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 계엄령이 선포되었습니다.

 

    1. 제주 4·3 사건 (1948년 11월):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이 선포되었습니다.

 

    1. 4·19 혁명 (1960년 4월):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이 선포되었으나, 결국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게 되었습니다.

 

    1. 5·16 군사정변 (1961년 5월): 박정희 소장이 주도한 군사 쿠데타로 전국에 계엄령이 선포되었고, 군사 정권이 수립되었습니다.

 

    1. 부마항쟁 (1979년 10월):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시위가 부산과 마산에서 발생하자, 해당 지역에 계엄령이 선포되었습니다.

 

    1. 10·26 사태 (1979년 10월): 박정희 대통령의 피살로 전국에 비상계엄이 선포되었습니다.

 

  1. 5·18 광주 민주화 운동 (1980년 5월): 신군부의 권력 장악에 반대하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이 전국으로 확대되었고, 광주에서 군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였습니다.

이러한 계엄령 선포는 주로 국가의 안보 위협이나 정치적 불안정 상황에서 이루어졌으며, 그 과정에서 국민의 기본권이 제한되고 군의 통치가 강화되었습니다. 특히 5·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의 계엄령은 군부의 권력 남용과 인권 침해로 큰 비판을 받았습니다.

계엄령의 발동은 국가의 질서 유지를 위한 조치이지만, 그 남용은 민주주의와 인권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계엄령의 선포와 시행에는 엄격한 법적 절차와 국민의 감시가 필요합니다.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0Uf2M_jK65k